충북 청주 평동전통떡마을


HOME 마이인빌 메일 고객센터
전통과 정보가 공존하는 공간 속으로! 평동전통 떡마을
지역마다 떡의 특징과 종류
구 분 특 징 종 류
함경도 콩, 조, 강냉이, 수수, 피의 품질이 좋아
이들을 이용해 떡을 만들어 먹는다.
찰떡인절미, 달떡, 오그랑떡, 찹쌀구이, 괴명떡, 꼬장떡, 언감자떡 등.
평안도 떡이 매우 큼직하고 소담스럽게 만든다. 송기절편, 송기개피떡, 골무떡, 조개송편, 뽕떡, 노티떡, 무지개떡, 찰부꾸미, 등.
황해도 조를 떡의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잔치시루떡, 무설기떡, 오쟁이떡, 큰송편, 혼인인절미, 혼인절편, 수리취인절미, 증편, 꿀물경단, 우메기, 닭알떡, 찹쌀부치기, 수수무살이, 좁쌀떡, 닭알범벅 등.
경기도 떡의 종류가 많고 모양도 멋을 부려 화려하다. 색떡, 여주상병, 배피떡, 우메기, 개성주억, 우찌지, 개성경단, 각색경단, 수수도가니, 수수지지미, 개떡, 쑥갠떡, 쑥버무리, 밀범벅떡, 근대떡, 백령도김치떡, 개성조랭이떡, 봉우리떡(두텁떡), 상치떡, 물호박떡, 각색편(백편, 꿀편, 승검초편), 느티떡, 약식, 화전, 주악, 석이단자, 대추단자, 쑥구리단자, 밤단자, 유자단자, 은행당자, 건시단자, 색떡, 율무단자, 솔방울떡, 여주산병, 우메기, 개성경단, 각색경당, 근대떡, 수수도가니, 수수지지미(부꾸미), 개떡 등.
강원도 산과 바다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재료도 다양하여 떡의 종류가 다양하다. 감자시루떡, 감자떡, 감자녹말송편, 감자경단, 언감자떡, 감자부침, 감자투생이, 감자뭉생이, 옥수수설기, 옥수수보리개떡, 옥수수칡잎떡, 찰옥수수시루떡, 메밀전병, 댑싸리떡, 감자시루떡, 감자녹말송편, 옥수수설기, 우무송편, 방울증편 옥수수보리개떡, 메밀전병(총떡), 댑싸리떡, 메싹떡, 감자떡, 각색차조인절미 등.
충청도 양반과 서민의 떡이 구분되어 있다. 꽃산병, 곤떡, 쇠머리떡, 약편, 막편, 수수팥떡, 호박떡, 호박송편, 해장떡, 장떡, 감자떡, 감자송편, 칡개떡, 햇보리개떡, 도토리떡, 볍씨쑥버무리, 사과버무리떡,꽃산병, 쇠머리떡, 약편, 해장떡, 곤떡, 수수팥떡, 감자떡, 감자송편, 볍씨쑥버무리떡, 칡개떡, 햇보리개떡 도토리떡 등.
경상도 상주와 문경에는 밤, 대추, 감으로 만든 설기떡과 편떡을 많이 해 먹었고 경주의 제사떡이 유명하다. 감단자, 상주설기, 송편꿀떡, 모시잎송편, 감자송편, 거창송편, 망개떡, 밀비지, 만경떡, 모듬백이, 모시잎송편, 밀비지, 만개떡, 쑥굴레, 잡과편, 잣구리, 부편, 감자송편, 칡떡 등.
전라도 곡식이 많이 생산되어 음식 못지 않게 떡도 사치스럽고 맛이 격별하다. 감시리떡, 감고지떡, 감인절미, 감단자, 전주경단, 해남경단, 꽃송편, 삐삐떡, 모시송편, 모시떡, 나복병, 호박고지차시루편, 호박메시리떡, 풋호박떡, 감시루떡, 감고지떡, 나복병, 복령떡, 송기떡, 수리취떡, 고치떡, 삐삐떡, 감단자, 감인절미, 호박고지찰시루떡, 호박메시루떡 등.
제주도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라 쌀보다 잡곡이 흔하다. 떡의 재료도 메밀, 조, 보리, 고구마가 많이 쓰인다. 다른 지방에 비해 떡 종류가 적고, 쌀을 이용한 떡 귀하게 여겨 제사 때만 쓴다. 도돔떡, 침떡, 차좁쌀떡, 오메기떡, 돌레떡, 속떡, 빙떡, 빼대기떡, 상애떡, 조침떡, 감제침떡, 은절미, 반착곤떡, 반찰곤떡, 달떡, 조침떡(좁쌀시루떡), 뼈대기떡(감제떡), 차좁쌀떡, 오메기떡, 돌레떡, 속떡(쑥떡), 도돔떡, 상화병, 빙떡(메밀부꾸미) 등.